분류 전체보기(827)
-
사진치료의 관점에서 바라본 게슈탈트 심리학
사진치료의 관점에서 바라본 게슈탈트 심리학 게슈탈트 심리학은 전체를 부분의 합 이상으로 보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사진치료(Phototherapy)는 심리치료에서 사진을 도구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게슈탈트 심리학의 원리를 적용하여 게슈탈트 심리학 관점에서 사진치료를 이해하는 주요 개념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 관점에서 사진치료라는 관점에서 게슈탈트 심리학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사진치료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1. 전체성(Wholeness)게슈탈트 심리학에서는 개별 사진이 아니라 사진의 전체적인 구성이 중요합니다. 개인사진 한 장도 매우 중요하지만 내담자가 가지고 온 사진이나 찍은 사진을 바라 볼 때, 우리는 사진 속 개별 요소들뿐만 아니라 그들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
2024.07.24 -
내담자를 돕기 위한 사진 이론과 기법들
내담자를 돕기 위한 사진 이론과 기법들 내담자가 사진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주요 심리적 사진 이론과 기법을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사진을 촬영하거나 분석할 때 중요한 요소들인 전경과 배경, 프레이밍, 크롭 등을 이해함으로서 사진을 해석하거나 사진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 프로젝티브 기법(Projection Techniques)프로젝티브 기법은 사람들이 무의식적인 생각과 감정을 드러내기 위해 모호한 자극(예: 사진, 그림)을 사용하도록 하는 심리학적 방법으로 이는 개인의 내면세계를 탐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들면 내담자가 가지고 온 사진속에서 전경과 배경을 떼어내어서 바라보는 것입니다. 내담자가 사진에서 무엇을 전경에 두고, 무엇을 배경으로 설정..
2024.07.23 -
감정카드을 활용한 사진찰영법
감정카드을 활용한 사진찰영법 내담자가 감정을 사진으로 표현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첫번째 이유는 감정은 추상적이고 복잡한 경험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구체적이고 시각적인 이미지로 표현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내담자의 감정을 표현하거나 이야기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진매체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자기인식의 부족일어날 수 있습니다.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명확히 인식하지 못하면, 이를 사진으로 표현하는 것도 어렵습니다. 감정 인식은 감정 표현의 첫걸음입니다. 세번째로는 사진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능력이나 창의적 발상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사진 촬영에 익숙하지 않거나 예술적 표현에 자신감이 없을 수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사진촬영시 기..
2024.07.22 -
사진치료에 있어서 그림자의 의미는 뭘까?
사진치료에 있어서 그림자의 의미는 뭘까?사진치료에 있어 다루는 주제중에 하나가 바로 그림자입니다. 그림자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해석하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융의 심리학에서 '그림자(Shadow)'는 개인이 무의식 속에 억압하거나 부정적으로 여겨 숨기는 성격의 일부로 보고 있습니다. 그림자는 종종 우리의 자아와 반대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가 인정하기 어려운 내면의 부분들입니다. 사진 심리학적 관점에서 그림자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그림자와 사진의 상징성사진은 강력한 상징성을 지닙니다. 사진 속 이미지들은 무의식에 억압된 감정이나 생각을 드러낼 수 있는 상징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어둠 속에 있는 인물 사진이나 그림자가 강조된 사진은 내담자의 억압된 감정..
2024.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