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들이 발달단계에 맞게 성장시키려면 어떻게 하지

2023. 6. 15. 13:36마음을 보다

자녀들이 발달단계에 맞게 성장시키려면 어떻게 하지

 

정신분석적인 측면에서 프로이드를 지난 시간까지 만났다. 오늘부터는 프로이드의 제자였던 에릭슨에 대해 살펴보면서 인간의 심리가 발달단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한다. 에릭슨은 덴마크인 아버지와 유태인인 어머니에게서 출생하였으며,  세 살 때까지 엄마손에 자랐다. 세 살이후 엄마는 재혼하여 이후 부터는 의붓아버지와 함께 살게된다.  어린 시절 어머니와 계부가 유태인이었지만 덴마크인의 유전으로 인해 외형적으로 달라서 친구들로 부터 이교도라는 놀림을 받는 등 정체성의 위기와 혼미를 경험하므로서 정신분석학을 시작하는 동기가 되기도 했다.

에릭슨은 프로이드의 딸인  Anna Freud의 지도하에 아동정신분석 수련을 받았으며, 히틀러의 탄압에 의해 1933년 유럽을 떠나 미국 보스턴으로 가서 아동정신분석가로 개업을 하게 되었으며,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아동정신분석 치료와 정상 아동을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진행하였다. 그의 저서 『아동기와 사회』에서 생의 8단계 이론을 제시하였다.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에서는 연령에 따라 리비도의 표출양상이 달라진다는 개념을 가지면서도 변화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환경과 접촉하는 과정에  성격발달의 주요인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점이 달랐다. 예를 들어, 구순기 아동 은 빨고자 하는 자아양식을 갖는데, 아동의 주변 환경은 이러한 욕구를 때로 충족시켜주기도 하고 때로는 좌절시키기도 한다. 이처럼 욕구가 충족되는 긍정적 경험과 좌절되는 부정적 경험이 교차하는 과정 속에서 자아양식은 일종의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만일 긍정적 경험의 비율이 부 정적 경험의 비율보다 높으면 위기는 긍정적으로 극복되며 아동은 긍정적 성격으로 발달하게 되나 반대의 경우 부정적 성격을 낳게 된다고 보았다. 

에릭슨은 프로이드와 달리 8단계로 발달단계을 설명하고 있다.  

주양육자와 신뢰성이 있는가 없는가가 타인을 신뢰하거나 불신하는 인생의 기초석을 낳는다.
1단계: 신뢰성 대 불신감(출생~1세 6개월경)
이 시기에 부모로부터 적절한 보살핌을 받게 되면 자녀들은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된 아동이 되고 자기자신과 주변에 대해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다고 보았지만 만약 욕구좌절될 경우 부정적인 경험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불신감을 갖게 된다고 보았다. 에릭슨은 이 시기에 형성된 기본적 신뢰성 또는 불신감은 일생을 살아가는 동안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보았다. 

스스로 하지 못하거 주양육자들에게 지나치게 의존한다면
2단계: 자율성 대 수치감(1세 6개월~3세)을 익히는 단계다. 이 시기에는 신체적 및 생리적 발달로 인해  스스로가 대소변 가리기를 시작하고 스스로가 자기통제가 이루어지는 시기다.  그런데 이 시기에 대소변 가르기를 제대로 하지 못할 경우  아동의 자기통제 행동에 대해 미숙함으로써  직간접적으로 부모의 규제를 받게 되게 된다. 물론 스스로가 실행해보지만 실패하게 되면서 수치심을 얻게 되기도 한다. 성공과 실패의 양극적 위기를 자녀들은 경험하게 되면서 자신감을 가지는 동시에 하지 못함으로서 겪는 수치심도 겪게 된다.  자율성 대 수치감 사이의 위기를 극복하는 가운데 자기 통제력을 경험하게 된다.

내가할께를 넘어 계획을 세워서하는 나이라면
3단계: 주도성 대 죄의식(3세~7세)에는 아동스스로가 자신의 활동을 계획하고, 목표를 세우며, 이를 달성하고자 노력한다. 놀이에서 부터 자신의 행동에 있어서 주도성이 보인다. 또래집단속에서 주도성을 나타내고 경쟁하며 몰입하면서 집중한다. 물론 그런 가운데 좌절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주도성을 가질려고 하는 시기이다. 만약 이 시기엑 주도성을 갖추지 모사게 될 경우, 자기주장에 대한 죄의식을 갖게 된다는 점에서 주목해서 보아야 할 시기이다.

왜 아이들이 열등감을 가지고 있을가라는 고민이 든다면
4단계: 근면성 대 열등감이 생기는 단계로 주로 7세~12세에서 일어난다. 자아성장의 결정적인 단계로서, 인지적 및 사회적 기술을 요구하는 단계이다. 아동들은 학교에서 부과하는 여러 과제들에 꾸준히 주의를 기울이고 성실히 작업에 임하는 과정에서 근면성을 획득하게 된다. 이 시기에 아동들은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적절한 성취를 느끼지 못하면 열등감에 빠져들게 된다. 이점에서 에릭슨은 아동을 격려하며, 재능을 발견하고 복 돋아 주는 부모의 태도에 집중하고 있다. 

나는 누구인가 고민하는 아이의 모습이 보인다면
5단계: 자아정체감 대 역할혼란(청소년기)시기로 이 단계에서  정체성위기가 나타난다. 자녀가 “나는 누구인가?”에서 시작하여, 자아정체감을 찾아가고자 한다. 청소년기는 자아를 확립하는 시기이며 주체성을 확립하는 시기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내 인생에서 무엇을 하지', '나의 능력은 뭘까'라는 질문에 답을 얻는 시기이다.  청소년들은 세상과 자기의 관계를 찾아간다. 만약 이시기에 자아정체성을 경험하지 못할 경우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할 지 몰라 역할 혼란을 일으키는 시기이다.

우정을 찾고 이성을 찾는 모습이 보인다면
6단계: 친밀성 대 고립감(성인 초기)을 경험하는 단계이다. 이 시기에 개인은 우정과 성적인 부분에 관심을 보이는 시기다. 이성과 동성에 대한 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된다.  이 시기에 이성이나 동성과의 관계가 제대로 형성되면 정체성과 융합되어 친밀감을 경험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고립상태에 빠지게 된다.

사회적으로 인정받고자 하는 모습이 보인다면
7단계: 생산성 대 침체감(중년기, 대략 35~50세)의 시기다.  이 시기에 사람들은 직장에서 일하거나 성취감을 경험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물질적인 수익이 늘고 생산성이 높다. 가정을 이루고 사회적으로 안정되는 시기이며, 자녀를 낳고 다음 세대를 가르치고 인도한다. 만약 이 시기에 생산성이 나타나지 않으면 침체감, 권태감, 대인관계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지난날과 현재상황을 수용하는 나이가 되며
8단계: 자아통합 대 절망감(노년기) 인생의 황혼기에 해당하는 나이다.  이시기는 지난날 자신이 살아왔든 길을 돌아본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아를 통합하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절망에 빠진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자아통합은 개인의 현재상황과 과거를 수용하는단계에서 나타난다. 만약 수용하지 못하게 될 경우 절망감에 빠져 삶에 대해 후회하는 시기이다. 

인간의 발달단계를 프로이드와 달리 8단계로 세분화하면서 나이에 따른 발달단계에 따른 목표을 제시하고 있는데 프로이드와 달리 개인이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일들을 통해 성격이 달라진다고 보고 있다는 점에서 프로이드와 다르다.

독자여러분들은 지금 어떤 과업 단계에 있으며, 미해결과업은 어디에 머물고 있는가? 당신이 중년이라면 생산성에 관심이 맞을 것이다. 돈을 별어야 하고, 성공해야 한다는 강한 압박이 독자여러분들을 힘들게 할 것이다. 그러나 이 단계에서 생산성을 높이고 가정에서 안정을 취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