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박중독(4)
-
[중독 상담사례] 우리 아이 게임에 빠져서요.
[중독 상담사례] 우리 아이 게임에 빠져서요.본 중독 상담사례는 필자가 중독 전문 인공지능 상담사에게 내담자의 문제를 알려주고, 인공지능 상담사의 의견을 확인한 후 상담방향이나 판단을 내리기 위해 의뢰한 내용입니다. 내담자 아버지의 이름은 이름인 길동이며, 50대의 부모입니다. 상담사례의 학생은 중학생이며 사춘기을 맞이한 학생입니다. 개인정보을 위해 일부 내용은 각색하였습니다질문01 - 자녀가 일정시간이상 스마트폰과 게임에 빠져서 다른 것을 하지 않으려고 하고 거짓말을 하면서 몰래몰래 스마트패드로 게임을 하고 있어요. 그리고 엄마가 폰을 빼앗으면 화를 내거나 욕을 해요. 그리고 화가나서 경찰에 엄마을 신고해서 경찰조사도 받아서요. 그리고 어느 하나에 몰입하면 그것에 꽃혀서 다른 것을 하지 않아요. 그렇..
2024.06.11 -
도박 중독.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도박 중독.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도박중독은 도박 활동이 개인의 일상생활, 사회적 관계, 경제적 안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태로 도박 행위에 대한 심리적 의존이 심해져,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심각한 지장을 초래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물질 사용 장애(마약중독)와 비슷한 뇌의 보상 시스템을 자극하여, 중독자가 반복적으로 도박 행위를 하게 만든다. 도박을 하면 돈을 딸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사회적 도박은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과 스릴을 제공하지만(교제나 관계적 측면에서), 일부 사람들은 이를 과도하게 즐기고 그로 인해 중독에 빠질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도박중독은 정신건강 문제로 간주되며, 심한 경우 가정 붕괴, 경제적 손실, 범죄 등의 문제가 발생을 유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
2024.06.07 -
[강의안] 도박 중독자들을 위한 사진치료 프로그램
도박 중독자들을 위한 사진치료 프로그램(계획서)이동현원장(사)한국중독융합학회 기술이사(사)교회정보기술연구원 원장1. 프로그램 개요이 프로그램은 도박 중독의 특성과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8회기 사진치료 과정입니다. 각 회기마다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이를 통해 중독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참석자는 10명에서 15명으로 구성되며, 각 회기에 필요한 준비물을 명시하였습니다. 2. 프로그램 목표 도박 중독의 특성과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과정으로, 각 회기마다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이를 통해 중독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도박 중독의 원인과 영향을 이해한다. 도박 중독으로 인한 감정과 ..
2024.06.03 -
[사이버심리학25] 사이버중독을 일으키는 도파민 이해하기
[사이버심리학25] 사이버중독을 일으키는 도파민 이해하기사이버중독, 즉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사용이 현대 사회에서 주요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선 뇌의 보상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의 역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도파민은 우리가 즐거움을 느끼게 하고, 행동을 반복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물질이다. 왜 아이들이 시도 때도 없이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앞에서 가상공간에 들어가 게임을 하거나 솟츠를 볼까. 이것은 도파민 때문이다. 내담자나 자녀가 느끼는 고통을 잊게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 도파민의 영향을 경험하면 그 이후 부터는 도파민중독에 빠지게 된다. 1. 도파민은 뭐지? 도파민은 보상 시스템이다라고 이해하면 쉽다. 도파민은 뇌의 특..
2024.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