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말하다(111)
-
중독에 빠진 자녀. 강점과 비전에 집중하라.
중독에 빠진 자녀. 강점과 비전에 집중하라. 정글의 법칙을 보신적이 있으시죠. 정글에 가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은 무엇인지 아시나요. 비가 오거나 짐승들로부터 위험을 막기위해 가장 먼저 하는 일은 바로 집을 짓는 것입니다. 나무가 많은 지역인지, 돌이 많이 곳인지, 얼음이 있는지에 따라 집의 형태가 달라집니다. 북극같은 곳에서는 이글루를 짓고, 돌이 많은 곳에는 돌담집을, 나무가 많은 곳에는 통나무집을 짓습니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집을 짓기 전에 설계도와 조감도을 먼저 생각합니다. 도시에서 집을 짓거나 그곳에서 오래 살다보면 재료나 예산이 충분할 경우라면 설계도와 조감도를 통해 지을 집을 설계하거나 조감도를 통해 미리 건축할 집에 대해 예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 자녀들은 부모의 설계도나 조감..
2023.02.03 -
다음세대들의 중독문제의 이해와 교회의 역할
다음세대들의 중독문제의 이해와 교회의 역할 문제인식 – 청소년들을 위협하는 3가지 중독 청소년들의 중독문제는 어제, 오늘의 문제만은 아니었지만 최근들어 스마트폰 과의존 사용과 함께 마약중독, 도박중독의 증가로 인해 개개인의 문제를 뛰어넘어 사회적 문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국내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전체 23.3%로 전년(20.0%) 대비 3.3%포인트 늘어난 가운데, 과의존 위험균의 비율을 보면, 청소년(만10~19세) 비율이 35.8%로 가장 높고, 유아동(만3~9세)이 27.3%로 뒤를 잇고 있을 정도로 연령층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지난 4월 마약류 청소년 마약 사범수 총 173건 중에 마약성 진통제 ‘펜타닐’ 패치를 처방받아 유통 투약한 고등학생 등 10대 42명 검거될 ..
2023.02.03 -
중독은 내 책임이 아니지만 회복은 내 책임이다.
중독은 내 책임이 아니지만 회복은 내 책임이다. 중독의 문제는 개인의 문제인가 아니면 사회구조적인 문제인가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 한다. 경쟁사회속에서 살아온 남편들은 그 경쟁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다른 사람보다 더 열심히 하려고 하고 인정받으려고 한다. 그렇다보니 일중독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아내들은 어떨까? 남편을 직장에 보내고 아이들은 학교에 보낸 후 집안일을 다 마친 후 잠시의 휴식시간 막간에 텔레비젼을 통해 쇼핑을 한다. 집에 필요한 것이 없을까? 내가 좋아하는 것이 나왔을까 하는 생각으로 쇼핑을 시작하다가 어느 순간 나도 모르게 중독에 빠지고 만다. 그렇다고 아이들은 예외일까? 지친 몸을 이끌고 집으로 오면서 스마트폰으로 게임도 하고 친구들과 톡을 한다 스트레스 해소도 되고 친구들과 소통..
2023.02.02 -
명품중독에 빠진 사람들. 왜 그들은 명품중독에 빠지는 걸까
명품중독에 빠진 사람들. 왜 그들은 명품중독에 빠지는 걸까 경기가 어렵다고 하지만 명품시장은 흥행한다. 타인에게 돋보이고 싶어 하는 마음때문이다. 왜 우리는 자신의 특별함을 과시하고 싶은 걸까? 과시욕은 자신의 능력 이상으로 잘 보이고 싶어하는 마음이다. 과시욕을 부르기 위해 정당한 노력없이 과시를 하려고 하다보니 거짓말을 하거나 남을 무시함으로서 관계가 무너지고 다른 사람들의 마음에 상처를 주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과시욕은 타인의 관심을 얻기 위해 자기 자신을 과장해서 표현하는데에서 나왔다. 명품중독에 빠진 사람들은 과거 부모의 학대, 애정결핍에 의해 우울증과 불안감, 공허함, 나아가 낮은 자존감으로 인해 감정의 문제가 생겼고 이를 채우기 위해 명품이라는 매체를 선택하게 되었다. 사람들은 명품을 바라..
2023.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