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말하다(117)
-
중독은 내 책임이 아니지만 회복은 내 책임이다.
중독은 내 책임이 아니지만 회복은 내 책임이다. 중독의 문제는 개인의 문제인가 아니면 사회구조적인 문제인가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 한다. 경쟁사회속에서 살아온 남편들은 그 경쟁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다른 사람보다 더 열심히 하려고 하고 인정받으려고 한다. 그렇다보니 일중독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아내들은 어떨까? 남편을 직장에 보내고 아이들은 학교에 보낸 후 집안일을 다 마친 후 잠시의 휴식시간 막간에 텔레비젼을 통해 쇼핑을 한다. 집에 필요한 것이 없을까? 내가 좋아하는 것이 나왔을까 하는 생각으로 쇼핑을 시작하다가 어느 순간 나도 모르게 중독에 빠지고 만다. 그렇다고 아이들은 예외일까? 지친 몸을 이끌고 집으로 오면서 스마트폰으로 게임도 하고 친구들과 톡을 한다 스트레스 해소도 되고 친구들과 소통..
2023.02.02 -
명품중독에 빠진 사람들. 왜 그들은 명품중독에 빠지는 걸까
명품중독에 빠진 사람들. 왜 그들은 명품중독에 빠지는 걸까 경기가 어렵다고 하지만 명품시장은 흥행한다. 타인에게 돋보이고 싶어 하는 마음때문이다. 왜 우리는 자신의 특별함을 과시하고 싶은 걸까? 과시욕은 자신의 능력 이상으로 잘 보이고 싶어하는 마음이다. 과시욕을 부르기 위해 정당한 노력없이 과시를 하려고 하다보니 거짓말을 하거나 남을 무시함으로서 관계가 무너지고 다른 사람들의 마음에 상처를 주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과시욕은 타인의 관심을 얻기 위해 자기 자신을 과장해서 표현하는데에서 나왔다. 명품중독에 빠진 사람들은 과거 부모의 학대, 애정결핍에 의해 우울증과 불안감, 공허함, 나아가 낮은 자존감으로 인해 감정의 문제가 생겼고 이를 채우기 위해 명품이라는 매체를 선택하게 되었다. 사람들은 명품을 바라..
2023.02.02 -
중독에서 벗어나면 보이기 시작한다
중독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살았으면 좋겠다. 누구나 1가지 이상의 중독에 빠져 있다. 필자도 마찬가지였다. 일중독은 수십년동안 나와 동거동락한 놈이였고 보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영화중독에 빠진 적도 있었다. 직업상 미디어의 유혹에 자주 빠져서 넘어지곤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독의 자리에서 다시 일어나서 걷고 달린다. 어느 날, 기독교 중독연구소의 내비도님이 적은 글을 보면서 공감을 느낀 적이 있어 소개한다. 담배를 끊으면 과거가 보이고, 술을 끊으면 현실이 보이고, 도박을 끊으면 미래가 보이고 약물을 끊으면 천국이 보이고, 스마트폰을 끊으면 꿈이보이고, 게임을 끊으면 꿈이보이고 음란물을 끊으면 배우자가 보이고, 빚을 끊으면 빛이 보이고, 중독을 끊으면 희망이 보인다. 중독에서 벗어나면 볼 수 없었..
2023.02.02 -
설교코딩은 뭘까
설교코딩은 뭘까 누구도 설교코딩이라는 말은 하지 않는다. 그런데 필자는 설교는 코딩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뭘까? 나 스스로에게 납득시켜본다. 나 자신이 납득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억지 일 수 밖에 없다. 설교는 말이다. 아니다 말로만 설교하면 주요키워드만 넣어서 쉽게 설교를 할 수 있겠지만, 내용이나 구성등이 부족하여 설득력이 떨어지거나 비성경적일 수 있다. 설교는 글이다. 아니다. 설교원고는 글로 되어 있지만 그대로 읽기만 하는 설교는 성도들에게 은혜를 줄 수 없다. 힘이 없거나 힘이 빠진다. 듣는 청중입장에서 너무나 설교가 어렵거나 받아 들어기 힘들다. 설교자는 설교를 하기전에 설교원고를 작성해야 한다. 설교원고를 작성할 때 문어체(글)가 아닌 구어체(말)로 작성해야 한다. 그렇다고 평..
2022.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