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08] 스트레스 상황 파악하고 해결하기

2023. 1. 28. 15:53사진은 마음을 치료한다

다리는 우리주변에 생각보다 많다. 육교, 철교, 대교는 우리 주변에 생각보다 많이 존재한다. 다리는 이쪽과 저쪽을 연결해 주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연결성, 관계맺기, 방향과 변화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 검사를 통해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스트레스을 파악하고 이를 이겨 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 둔다. 주로 이 검사는 변화에 적응에 민감한 내담자(청소년)에게 많이 실시한다. 어는 지점에서 어느 지점으로 가는 연결은 변화의 과정과 선택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내담자가 이혼을 앞두고 있거나 이사나 전학등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면 이 과정을 통해 스트레스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내담자에게 다리사진을 촬영해 오도록 한다. 그리고 촬영해 온 사진에 화살표로 진행방향을 표시하게 한다. 그리고 만약 그곳에서 내담자의 사진을 찍은 위치가 어디이며 표시하도록 한다. 


진행방향과 인물의 위치를 파악한다.

청소년들은 75% 정도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진행하며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사람도 20%정도가 된다.  사진의 경우 찍는 방향이 정해져 있지만 내담자에게 물어서 사진을 찍은 방향이 마음에 들었는지 아니면 어떠했는지 파악한다. 만약에 상황이 여의치 못해 이곳에서 찍었지만 상황이 되었다면 반대쪽에서 찍었다고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이다. 

인물의 위치도 사진에 표시한다. 사진속에 자신의 위치를 그림으로 그리거나 체크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런 후 자신이 위치에서 출발점이 어디였으며, 도착점이 어디인지를 물어본다.  그리고 도착점까지 얼마나 더 남았는지 거리를 확인해 본다. 이 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까지의 과정을 상징적으로 풀어나간다. 일반적으로 내담자들은 자신의 위치는 가운데 있고 출발점과 도착점 중간에 있다고 이야기 한다. 여기서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출발점과 도착점, 현재위치에 대한 이야기를 듣기 위해 질문한다. 만약에 도착점과 시작점이 다리의 양쪽에 그릴 수 있다. 다리 양쪽에 그린 장소가 실질 지명일 수 있고 아니면 가상의 상징적인 장소일 수 있다. 

 

다리의 상태를 파악한다.

다리의 연결부위, 다리의 재료(강철인지 나무인지, 돌인지), 다리종류가 무엇인지 확인한다. 
내담자에게 자신의 삶에 있어서 다리의 연결부위 무엇이며, 다리와 다리를 연결하는 재료가 무엇인지 물어본다. 연결부위가 약하지 않는지, 그 재료가 마음에 드는지를 확인한다. 내담자의 마음상태에 따라 다리의 연결상태나 재료가 달라진다.
내담자에게 마지막으로 다리 아래의 상태를 확인하는 질문을 한다.다리 밑이 위험한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대개 물을 그린다면 물살이 새거나 위험한 것이 도사리고 있는지 확인한다. 이러한 질문은 내담자가 계획하고 생각한 방향에 있어서 문제점이나 어려움을 인지하고 있는지 그 위험성에 의해 무엇을 하지 못하는지에 대해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시점과 방향을 파악한다.

사진을 찍기 위해 위에서 아래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고, 반대로 아래에서 위로 촬영할 수 있다. 물론 측면이나 정면에서 촬영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위에서 촬영한 경우 통제에 대한 욕구나 힘에 대한 소망이 있는 확인할 수 있으며, 반대로 아래에서 촬영한 경우라면 열등감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사진에서는 일반적으로 앵글이라고 하는데 이 앵글을 통해 피사체의 느낌이나 감정이 전달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수평으로 촬영하거나 수직으로 촬영하는 경우가 있는데 다리 사진의 경우 수평으로 촬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내담자가 바라보는 시점과 관점에 따라 달라진다. 세로로 촬영한 경우에는 높이감을 강조할 경우이다. 

간혹 돌다리를 위에서 촬영하거나 옆에서 촬영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 무살이 센지, 다리가 튼튼한지에 대해 내담자에게 물어본다.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다리가 튼튼해 질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스스로가 말하도록 함으로써 문제해결능력을 높이는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안전하게 가기위해서는 나무다리를 건너면 되고 모험적이면서 탐험적이라면 돌다리를 건너면 된다. 도전인지 안전인지는 내담자가 선택할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