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81)
-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중독에 대해 아시나요
SNS중독에 대해 이야기 한다는 것은 참으로 부담스럽다. 필자 역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등을 하고 있고 이를 통해 글을 쓰고 홍보도 한다. 다만 다른 사람들과 차이가 있다면 소셜미디어를 통해서는 사적인 이야기를 올리지 않으려고 한다는 점이다. 예를드면 가족사진, 여행, 최근에 만나 사람등에 대한 내용들은 극히 사적이고 잘못하면 보이스피싱의 위험에 빠질 내용이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미디어 강사로서 강의를 시작하기전에 이런 질문을 한다. 여러분은 카페인 중독이 아닙니까?라는 질문이다. 이 질문의 핵심은 바로 카카오톡,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에 빠져 있지 않습니까?라는 질문이다. 우리나라 전체인구중 스마트폰을 가지고 잇는 사람중에 카카오톡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 거의 없고, 기성세대나 젊은 세대중에 페북..
2023.02.19 -
인터넷중독. 얼마동안 치료하면 될까요
인터넷중독에 빠진 저의 자녀가 얼마동안 치료하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을까요 라는 질문을 받으면 다시 이런 질문을 던진다. 학부모님께서 지금 성인병을 가지고 계신가요. 있다면 어떤 것이 있느냐고 물는다. 그러면 당뇨병, 고지혈병, 고협압이 있다고 한다. 그러고 나서 저는 학모님에게 언제 부터 성인병에 걸렸느냐고 물으면 진단은 얼마전에 받았고 약을 먹고 있다고 이야기를 듣는다. 그 때 다시 학모님께 말씀을 드린다. 학부모님. 성인병도 하루아침에 생기지 않듯 인터넷중독도 하루아침에 오지 않았습니다. 최소 3-5년전에 시작하여 지금 심각하다고 느끼고 진단을 받은 것 뿐입니다. 라고 이야기 합니다. 그렇습니다. 인터넷중독은 하루아침에 생기지 않습니다. 최소 몇 년전부터 생겼는데 이런 이유 저런 이유로 무시했..
2023.02.19 -
중독은 결핍에서 시작된다
중독은 결핍에서 시작되고 결핍은 수치심, 두려움, 공허함에서 나온다. 우리 마음속에 결핍이 존재한다면 중독의 씨앗이 뿌려진 것이다. 수치심, 두려움, 공허함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대한민국은 중독공화국이다. 나라는 경제중독에 빠졌고 개인은 스마트폰 중독에 빠졌다. 스마트폰 중독에 빠진 사람들은 이제 걸어다니면서 스마트폰을 하다가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들을 가르켜 스몸비라고 지칭할 단어가 나올 정도로 심각하다. 스마트폰 중독에 빠지만 사람에 대한 관심도 사라지고 대화도 단절된다. 가족끼리 같이 있어도 스마트폰을 한다고 대화는 사라지고,강정교류도 얼굴이 아닌 폰의 이모티콘을 통해 한다. 스마트폰 중독외에도 게임중독, 알콜중독, 마약중독, 사이버 음란물중독, 사이버도박중독, 쇼핑중독, 일중독 등 셀수도..
2023.02.19 -
스마트 미디어시대의 관계중독의 문제점과 대안
스마트 미디어시대의 관계중독의 문제점과 대안이동현 원장 / 교회정보기술연구원 시작하면서 ▲ 이동현 원장스마트미디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 중에는 스마트미디어와 관련된 한 가지 이상의 디지털 중독에 빠져서 살아간다. 스마트 미디어 속에서 은밀하면서 조용히 사람들의 마음을 빼앗아가는 디지털 중독들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음란물 중독, 관계 중독, 게임 중독 등이 있으며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통해 확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웹툰 중독까지 가세함으로써 디지털 중독의 종류도 날로 늘어나고 있다.그렇다면 중독이란 무엇이며, 관계중독이란 무엇일까? 먼저 중독의 어원부터 살펴보면 중독이란 라틴어의 Addiction에서 유래되었는데 전쟁에서 패하여 노예가 된 사람을 주로 가리켜 사용했던 말로1) 더 이상 자신의 의지에..
2023.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