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시대, 세상의 변화를 느껴보라

2023. 9. 5. 11:11생각을 말하다

검색엔진도 살아남기위해 인공지능과 함께 걷고 있다

세상에 인터넷이 나온지 어느듯 73년이 넘어가고 있고 대한민국 역시 인터넷이 세상에 나온지 40년이 되어간다. 물론 1993년부터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실질적으로 소비자인 이용자들이 사용하게 된 것은 30년 정도이다. 인터넷이 세상을 바꾸어놓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터넷이 세상에 등장하면서 검색엔진 시장이 사람들의 주머니를 노려왔다면 이제는 인공지능시대를 맞았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사, 아이비엠, 카카오, 네이버등은 검색엔진에서 시작하거나 컴퓨터로부터 시작한 기업이지만 이제는 인공지능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높이려고 한다. 

구글은 얼마전에 등장한 챗gpt로 인해 가장 크게 피해를 받은 기업이다. 물론 구글역시 인공지능 기술을 가지고 있었지만 한 걸음 먼저 세상에 공개한 챗gpt로 인해 가장 크게 영향을 받았던 기업이다. 챗gpt 등장으로 인해 구글은 23년 2월 6일에 블로그를 통해 초거대 인공지능 람다를 기반으로 한 대화형 인공지능인 바드를 공개했다. 바드는 구글에서 정보를 검색함과 동시에 챗봇에게 추가적인 자료를 요청하거나 할 경우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와 함께 관련 링크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준다. 다시 말해 지금까지 검색된 것을 보여주든 단계에서 정리한 후 관련 링크를 제공하는 기능까지 함께 제공하게 된 것이다. 이제 인간은 질문을 던지면 인공지능이 관련된 근거를 기반으로 답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이제 검색의 미래가 대화로 바뀌는 시대를 맞이한 것이다. 

반면 인공지능 챗gpt로 인해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한 기업이 있다. 바로 마이크로소프트사이다. 오픈ai에 수년동안 100억달러 12조억원을 투자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검색엔진에도 변화가 있었다. 지금까지 구글이 차지했던 검색시장을 빙이 조금이 빼앗아오고자 하는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마이크로소프트사는 빙에 인공지능 챗gpt를 통합하면서 변화를 불러왔다.  올해 2월 마이크로소프트사는 팀즈 프리미엄에 챗gpt를 탑재하여 회의내 용과 회의결과를 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하였으며, 빙에서 인공지능채팅을 할 수 있게 함으로서 변화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더욱이 기존의 챗gpt와 달리 실시간으로 정보를 받아 제공해 주는 시대가 도래하게 된 것이다. 

구글이나 빙처럼 검색엔진의 대표회사가 인공지능 챗gpt와 같은 채팅과 혼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시대로 변모하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네이버에서도 네이커클로바x를 공개하였다. 네이버의 초건대 인공지ㅡㅇ인 하이퍼클로바를 기반으로 하여 문서나 블러그 등에서 얻은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물론 구글이나 빙챗에 비해 갈길이 아직 멀지만 그 가능성 만큼은 기대해 볼 만하다.  

마지막으로 소개하고 싶은 것은 바로 유닷컴이다. (https://you.com/)

앞서 설명한 검색엔진 시장에 챗봇과 결합된 검색엔진이 바로 유닷컴이다.  2021년에 소개되었지만 검색시장에서 크게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지만 챗봇이 대중화되는 시점에서 다시 부각되기 시작한 검색엔진이 유닷컴이다.  유닷컴은 현재 무로로 운영중이며, 기본적으로 검색엔진과 함께 코드, 이미지드을 생성할 수 있으며, 유챗을 통해 한글로도 대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검색엔진이다. 물론 인공지능 챗gpt처럼 21년 5월까지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채팅을 할 수 있다는 제한점은 있다. 물론 유닷컴도 유료화될 경우라면 이 부분도 달라지지 않을까 생각된다. 

 

검색엔진이 이제 인공지능 챗봇을 탑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2022년까지만 해도 상상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은 어떠한가? 변화가 시작되자마다 기업은 생존을 위해 달라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개인은 어떤가 변화는 감지하고 있지만 그 변화에 대해 고민만하거나 변화를 인지못하는 경우가 많다. 

필자가 강의를 하면서 자주하는 말이 있다. 생존을 위해, 살아남기 위해 배우고 익히고 적용해야 한다. 아직까지 인공지능이 무엇인지 뭘해야 할지 모른다고 고민하기 보다 신문이나 유튜브를 통해 조금더 관련분야에 대해 익히고 배워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인공지능에게 지배당하거나 인공지능으로 인해,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사람에 의해 지배를 받게 될 것이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