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구(4)
-
상대방의 방식으로 마음열기(역지사지)
상대방의 방식으로 마음열기(역지사지) 내담자는 시를 통해 자신만의 방법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간다.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시어나 문구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이지 않는 비언어적인 내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내담자가 자신의 세계를 어떻게 바라보고 그려 가는지, 관찰하고 표현 하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즐거움, 기쁨, 슬픔, 호기심과 관련된 것이 무엇인지,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통해 내담자의 마음을 볼 수 있고 그 이야기를 통해 내담자의 마음을 열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내담자가 적은 시를 통해 중심이 되는 단어, 행동, 표현을 찾아서 이미지나 행동과 관련된 살펴 본 후 내담자가 표현한 부분에 대해 물어보고, 그 감정이나 생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어야 한다. 시어나 시구 속에서 표현한..
2019.08.16 -
시구의 길이는 마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길이로 한다.
시구의 길이는 마음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길이로 한다. 시구의 길이는 시인의 감정이나 의식에 의해 결정된다. 행 나누기와 길이를 창조적으로 사용하면 시의 의미와 메세지가 잘 전달 할 수 있다. 시를 쓰거나 읽을 때의 운율은 시를 몰입하는 힘을 제공한다. 형식에 매인 시는 매우 명확하게 표현 할 수 있겠지만. 잘못하면 경직되고 답답해서 시를 감상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 때가 있다. 시인의 마음이나 감정을 이미지와 연결하여 표현하다보면 내면의 소리를 표현하게 되는데, 이때 자연스럽게 마음의 움직임에 따라 표현하되, 자연스러운 말의 흐름을 따라하는 것이 중요하다. 행을 나눌 때에는 자신의 느낌과 이야기의 소재가 달라 나눈다. 행과 행을 넘어갈 때 자신의 감정과 느낌과 관련된 이미지를 찾고 그 이미지에서 ..
2019.08.15 -
포엠테라피03 - 시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과 고통을 보여준다.
포엠테라피03 - 시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과 고통을 보여준다. 내담자의 고통과 아픔을 몇 줄 안 되는 시구를 통해 표현하기란 쉽지 않다. 그럼에도 내담자가 표현하는 고통과 아픔을 글이나 시로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가 셀프 포엠테라피가 되어 치료의 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자신의 아픔과 고통이 무엇인지, 그 고통을 피할 수 없거나 피하려고 할 때 어떻게 해야 할지, 지금 당장 내담자에 삶 깊은 곳에서 끌어올리고 싶거나 집중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시구로 표현해 나가다 보면 자신의 내면의 고통을 직면할 수 있게 된다. 한 두 편의 시를 적다보면, 자신의 감정이 담긴 시를 만나게 되고, 그 시들은 어떤 때는 절망의 동굴처럼, 어떤 때는 희망이 보이는 터널처럼 표현되기도 한다. 이렇게 시를 적다보면 ..
2019.08.14 -
포엠테라피02 - 시는 감정과 느낌을 표현한다.
포엠테라피02 - 시는 감정과 느낌을 표현한다. 시어에는 내담자의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 있어서, 내담자와 시를 읽는 사람 모두가 쉽게 교감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 내담자는 자신의 감정이나 마음을 시어나 시구를 통해 적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가 위안과 기쁨을 받게 되고 셀프 힐링의 과정을 통해 자기 자신을 뒤 돌아 보게 된다. 내담자가 기분이 좋거나 기분이 나쁠 때, 슬플 때나 기쁠 때의 이야기를 한 편의 시로 표현하면 자신의 감정이 얼마나 복잡한지, 얼마나 복선적이며 역설적인지를 알게 되기도 한다. 복선적이고 역설적인 내담자의 감정을 시어나 시구로 표현하다보면 숨겨진 자신의 마음을 바라 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치유의 과정이 이루어진다. 자신의 마음을 담은 시어와 역설적인 자신의 마음이 섞여서 표현함으로 ..
2019.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