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47)
-
[사이버심리학10] 현실 페로소나와 가상의 페로소나가 다를 때
[사이버심리학10] 현실 페로소나와 가상의 페로소나가 다를 때 사람들은 장소와 위치, 대상에 따라 자신만의 페로소나를 가지고 살아간다. 근엄한 학교 선생이지만 집에서는 딸바보이며 사랑꾼일 수 있다. 이처럼 사람들은 사회생활을 하기 위해 자신만의 페로소나라는 가면을 쓰고 살아간다. "페르소나"의 개념은 개인이 세상에 보여주는 자신만의 사회적 얼굴이다. 자신만의 설정된 페로소나에 따라 표현의 역동성은 크게 다를 수 있지만 실제 생활과 가상 공간 모두에서 페로소나가 존재한다. 그렇다면 현실속 페로소나와 가상공간속 페로소나는 어떤 차이점이 있으며 유사점은 뭐가 있을까? 현실속 페로소나와 가상공간속 페로소나가 달라도 너무 다를때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까? 1. 실제 페르소나와 가상 페르소나의 공통점은 뭘..
2024.05.08 -
가정의 달. 사진 촬영 사업을 통한 지역사회의 유대 강화하는데 기여
가정의 달을 맞아 장수사진과 가족사진 촬영 사업, 지역사회의 유대 강화하는데 기여한다.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우리 사회의 여러 교회와 관련 기관들이 경제적 여건이나 사회적 지원이 부족한 가정과 어르신들을 위한 특별한 사진 촬영 사업을 펼치고 있다. 장수사진과 가족사진 촬영은 단순한 이미지 기록을 넘어, 개인과 가정에게 깊은 의미와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는 치료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역은 교회가 지역사회 내에서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그 존재감과 긍정적인 이미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전도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교회가 지역사회의 어려운 분들이나 교회 내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장수사진 촬영 사역을 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활동이다. 이러한 사역은 단순히 사진을 찍어주는 것..
2024.05.07 -
[사이버심리학09] 왜 사람들은 가상 공간에서 더 부정적인 행동을 많이 하는가?
[사이버심리학09] 왜 사람들은 가상 공간에서 더 부정적인 행동을 많이 하는가? 가상 공간에서의 부정적인 행동은 현대 사회에서 점차 더 주목받고 있는 문제 중 하나다.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 상에서 다양한 형태의 부정적인 행동을 보이며, 이는 종종 현실 세계에서는 경험하지 않는 수준으로 이어진다. 이에 대한 이유를 살펴보고, 온라인에서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해 보고자 한다. 온라인 공간에서의 부정적인 행동은 익명성과 탈개인화의 요소들로부터 비롯된다. 익명성은 사용자가 자신의 실제 신원을 숨길 수 있고, 피하고자 하는 생각이나 행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는 부정적인 측면도 함께 갖고 있는데 그 예로 사이버 괴롭힘, 트롤링, 그리고 잘못된 정보의 유포와 같은 ..
2024.05.07 -
[사이버심리학08] 아바타의 심리학: 가상 공간에서의 정체성 이해
[사이버심리학08] 아바타의 심리학: 가상 공간에서의 정체성 이해자녀를 키우면서 집에서 모습과 밖에서의 모습이 너무나 달라 놀라는 경우가 있다. 사람은 어떤 사람을 만나느냐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나 말하는 모습이 달라진다. 아이들만 그런 것이 아니다. 어른들도 마찬가지다. 군에서 생활하는 아들, 직장생활을 하는 아들, 예비군 훈련을 가서 행동하는 아들의 모습이 다르다는 것은 어렵지 않게 발견된다. 이처럼 인간은 누구를 만나느냐와 함께 어떤 장소에 있느냐에 따라 달라지듯 가상공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우리의 눈으로 볼 수 없을 뿐 이곳도 가상의 공간이며 장소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 자녀들이 가상공간에서 자녀와 오프라인 공간인 가정에서의 자녀의 모습은 얼마든지 다를 수 있다는 전제하에 가상공간속 자녀들의 정체..
2024.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