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47)
-
자녀들의 입장에서 바라본 게임세상
학교에서 공부하고, 학원에서 부족한 과목을 학습하였지만 원하는 성적이 나오지 않는 아이들에게 있어서 게임세상은 돌파구이다. 자녀들이 게임세상에 들어가 있는 시간만큼은 현실을 잊어버릴수 있고, 현실세상에서 공부를 잘 하는 아이들보다 더 멋진 모습을 가상공간인 게임세상에서 보여줄 수 있다. 자녀들에게 있어서 게임세상은 현실세계에서 아무리 노력해도 쉽게 얻을 수 없는 학교 성적 점수를 게임세상에서는 어렵지 않게 얻을 수 있다. 게임은 많이 하면 할수록 레벨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이다. 그렇기 때문에 열심히 하고 오래동안 게임세상에 있으면 나름대로 레벨이 올라가기 때문에 게임중독에 빠지게 된다. 학교공부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재미있고, 성취감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게임등급이 올라가면서 자신감도 생기고 자기..
2023.02.25 -
충동욕구에서 벗어나기(어지 서핑)
사람에게는 2가지 욕구가 존재한다. 하나는 결핍욕구이고 또 하나는 존재욕구이다. 결핍욕구란 집, 음식, 옷, 이성, 배우자, 인간관계 등을 희망하는 욕구라면, 존재욕구란 더 인정받고 더 많은 사랑과 기쁨, 자기존중을 체험하고자 하는 욕구이다. 내적 평안이나 정신적 행복, 구원, 깨달음은 존재욕구에 속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결핍을 채우고자 한다. 아브라함 마슬로우는 그의 5가지 욕구이론을 통해 인간의 결핍을 채우기 위한 욕구이론을 정립하였는데 그의 결핍욕구는 중독에 빠진 내담자를 이해하고 어떻게 상담방향을 정하는데에도 도움이 된다. 중독에 빠진 청소년의 경우라면 생리적욕구, 인전의 욕구, 애정과 소속감의 욕구는 중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생리적욕구는 성욕, 식욕으로 탄수화물중독, 다이어트중독, 사이버 음..
2023.02.25 -
왜 중독은 재발이 잘 일어나는가?
왜 중독은 재발이 잘 일어나는가? 인생을 살다보면 일이 잘못 풀려서 그 문제로 인해 두려움과 공포를 경험하는 경우가 있다. 두려움과 공포는 고통이라는 기억으로 뇌에 남아서 인생을 괴롭힌다. 이러한 고통을 잊기 위해 인간들이 선택하는 가장 쉽고 빠른 방법이 중독을 통해 쾌락을 느끼면서 고통을 잊는 방법을 선택한다. 우리의 삶속에서 고통과 쾌락을 배제할 수 없듯 중독도 마찬가지인것 같다. 중독에 빠지게 전에는 내가 중독을 통제하고 필요에 따라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지만 현실은 다르다. 사람이 술을 먹고 술이 사람을 먹으면 아무리 통제하고 싶어도 통제할 수 없듯 중독은 개인의 부적응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행동을 유발한다. 여기에는 물질중독과 행위중독을 모두 포함한다. 특정 물질이 인간의 신체에 들어가면서 사람의..
2023.02.25 -
왜 중독이 위험할까
몇년 동안 코로나19로 인해 사람들의 일상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컨택트에서 언택트로 변화되어 직접적인 대면 만남보다 스크린을 통해 만남과 회의가 진행되다보니 여유시간에 불필요하게 유튜브나 웹서핑등을 하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중독의 위험성이 함께 높아진고 있다. 개임중독, 사이버음란물중독등이 늘어났으며, 게임 아이템 구입비용이나 배달 비용등의 증가로 이어졌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서 디지털 미디어 사용과 스마트기기의 사용시간이 자연스럽게 늘어남에 따라 중독의 문제는 일상에서 일어나는 보편적인 삶의 일부분이 되어 그 심각성에 대한 자각이 떨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중독에 빠지면 과연 어떤 위험성이 뒤따라 오는 걸까? 개인적인 측면에서 보면 인지능력의 저하가 일어나게 된다. 기기에 너무나 기대다보니 기억하..
2023.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