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26)
-
충동욕구에서 벗어나기(어지 서핑)
사람에게는 2가지 욕구가 존재한다. 하나는 결핍욕구이고 또 하나는 존재욕구이다. 결핍욕구란 집, 음식, 옷, 이성, 배우자, 인간관계 등을 희망하는 욕구라면, 존재욕구란 더 인정받고 더 많은 사랑과 기쁨, 자기존중을 체험하고자 하는 욕구이다. 내적 평안이나 정신적 행복, 구원, 깨달음은 존재욕구에 속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결핍을 채우고자 한다. 아브라함 마슬로우는 그의 5가지 욕구이론을 통해 인간의 결핍을 채우기 위한 욕구이론을 정립하였는데 그의 결핍욕구는 중독에 빠진 내담자를 이해하고 어떻게 상담방향을 정하는데에도 도움이 된다. 중독에 빠진 청소년의 경우라면 생리적욕구, 인전의 욕구, 애정과 소속감의 욕구는 중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생리적욕구는 성욕, 식욕으로 탄수화물중독, 다이어트중독, 사이버 음..
2023.02.25 -
왜 중독은 재발이 잘 일어나는가?
왜 중독은 재발이 잘 일어나는가? 인생을 살다보면 일이 잘못 풀려서 그 문제로 인해 두려움과 공포를 경험하는 경우가 있다. 두려움과 공포는 고통이라는 기억으로 뇌에 남아서 인생을 괴롭힌다. 이러한 고통을 잊기 위해 인간들이 선택하는 가장 쉽고 빠른 방법이 중독을 통해 쾌락을 느끼면서 고통을 잊는 방법을 선택한다. 우리의 삶속에서 고통과 쾌락을 배제할 수 없듯 중독도 마찬가지인것 같다. 중독에 빠지게 전에는 내가 중독을 통제하고 필요에 따라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지만 현실은 다르다. 사람이 술을 먹고 술이 사람을 먹으면 아무리 통제하고 싶어도 통제할 수 없듯 중독은 개인의 부적응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행동을 유발한다. 여기에는 물질중독과 행위중독을 모두 포함한다. 특정 물질이 인간의 신체에 들어가면서 사람의..
2023.02.25 -
왜 중독이 위험할까
몇년 동안 코로나19로 인해 사람들의 일상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컨택트에서 언택트로 변화되어 직접적인 대면 만남보다 스크린을 통해 만남과 회의가 진행되다보니 여유시간에 불필요하게 유튜브나 웹서핑등을 하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중독의 위험성이 함께 높아진고 있다. 개임중독, 사이버음란물중독등이 늘어났으며, 게임 아이템 구입비용이나 배달 비용등의 증가로 이어졌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서 디지털 미디어 사용과 스마트기기의 사용시간이 자연스럽게 늘어남에 따라 중독의 문제는 일상에서 일어나는 보편적인 삶의 일부분이 되어 그 심각성에 대한 자각이 떨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중독에 빠지면 과연 어떤 위험성이 뒤따라 오는 걸까? 개인적인 측면에서 보면 인지능력의 저하가 일어나게 된다. 기기에 너무나 기대다보니 기억하..
2023.02.23 -
행복은 좋은 대학과 직장이 제공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일을 하는 이유는 뭘까?, 학생들이 잠을 설치면서 공부하는 이유는 뭘까? 성공하거나 인정받기 위해 일을 하는 것이 아니다. 좋은 대학, 좋은 직장을 가기 위해 일을 하는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무얼 위해서 사람들은 일을 하고 공부를 하는가? 라는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단순히 인정받고 성공하기 위해 일을 하거나 공부를 한다면 좋은 직장, 좋은 대학에 들어간 후에는 공허감이 찾아오고 그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다른 무언가를 갈망하기 때문이다. 인간이 공부를 하고 좋은 직장을 가는 이유는 바로 행복하기 위해서다. 그런데 문제는 공부를 하고 직장에서 출세하기 까지는 결코 행복하지 못하다는데 문제가 있다. 사람은 행복한 순간을 바라보고 달려가지만 그 과정이 불행하다면 행복의 결과는 어떤 면..
2023.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