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묻고 인공지능이 답하다(234)
-
[연재13] 핵심 단어와 중심 문장을 찾아내아 간결하게 전달하는 법2
오늘은 핵심 단어와 중심 문장을 찾아내아 간결하게 전달하는 법에 대해 두번째로 독자여러분들을 만나는 시간입니다. 지난시간에 글을 잘 요약하는 법에 대해 설명하였고 요약은 핵심주제을 살리면서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는 것이다라고 말씀드리면서 다양한 사례를 설명하였습니다. 글을 잘 적기 위해서는 더하기보다 빼기다. 그래서 금번 시간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 문장에서 빼기를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크게 2가지를 더 설명하고자 합니다. 문장에서 불필요한 불필요한 단어, 절, 부사, 접속사만 삭제해도 글의 내용이 좋아 보입니다. 지난 시간 동일한 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 단어만 삭제해도 문장이 단순해 지면서도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었다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오늘은 이어서 단어외에 절, 부사, 접속사에 대해..
2023.03.17 -
[연재12] 핵심 단어와 중심 문장을 찾아내아 간결하게 전달하는 법1
필자가 글을 적고나서 돌아보면 곁으로 보기에는 잘 구성되었다고 느껴지는데 디테일하게 살펴보면 엉성한 부분이 많았다. 그리고 전체 내용을 요약해서 신문기사로 보내면 뭔가 허적하다는 느낌. 그리고 타이틀을 적다보면 내용과 제목이 동 떨어져 있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있다. 그 이유는 바로 전체내용에 대한 요약이 제대로 되지 않았서이다. 그러다보니 요약내용을 다시 글의 타이틀로 작성하면 전체 글의 내용과 제대로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필자는 본 포스트에서 글을 잘 요약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1. 요약이 뭐지 한줄로 요약하면 "핵심 단어와 중심 문장을 찾아내어 간결하게 전달하는 기술"이 요약이다. 이 내용을 다른 표현으로 말하면 "요약은 글이나 문서의 핵심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하는 것입..
2023.03.17 -
질문으로 ChatGPT의 생각 엿보기 01
본 포스트는 ChatGPT와 필자가 거의 2시간동안 대화를 한 내용입니다. 인공지능이 어떻게 문장을 이해하고 분석하는지, 글을 어떻게 작성하는지, 어떻게 하면 좋은 대화를 통해 원하는 결과값을 얻어낼 수 있는지에 대해 인간대 인공지능과의 솔직한 대화를 해 보았습니다. 대화를 하다가 인공지능의 단어에 대해 말꼬리도 잡아보면서 인공지능의 생각이 틀리지 않느냐고 해 보았고, 또 어떤 부분에서는 자신의 부족함을 스스로 인정하는 모습도 보게 되었습니다. 필자는 금번 포스트를 통해 조금 더 인공지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봅니다. 독자여러분들도 조금 길지만 글로 읽다보년 20-30분이면 충분히 리딩할 수 있는 양이 될 것입니다. 총30(29+1)개 문항으로 질문하였네요. 01_인공지능은 내가 적은 글을 보고 ..
2023.03.17 -
[연재11] AI가 기술보고서를 작성하면 CEO가 의사결정을 한다
인공지능이 가장 잘하는 일은 분류와 분석입니다. 인공지능이 사람보다 잘하는 일은 보고서를 작성하는 일입니다. 그러나 최종결정이나 의사결정은 대표가 해야 합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기업의 매입매출 정보를 찾아서 분석한 후 그 결과값을 제출하는 이야기를 다루고자 합니다. 아래는 임의의 가상의 창업기업이 5년간의 매입, 매출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이에 대해 기업은 인공지능에게 제출한 매입 매출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관련 보고서와 함께 기술보고서를 작성하도록 요청하였습니다. 표기단위는 만원 매입 2018년 750, 2019년 800, 2020년 850, 2021년 790, 2022년 750 매출 2018년 800, 2019년 850, 2020년 900, 2021년 800, 2022년 760 인공지..
2023.03.16